Linux - 25. NFS [작업중]
by jennysgapquotad : 사용자별 용량 제한
lookd : 누가 먼저 열었니? 처음에 연사람만이랑만 연결
statd :
root_squash : root 에서 남의 집으로 들어가면 NFS가 nobody라는 계정으로 자동 바꿈
no_root_squash : 모두 같은 root를 사용한다. root권한 인정받겠다.
anonuid, anongid : nobody 계정을 사용하고 싶지 않으면 anonuid, anongid 를 설정해야 한다.
작업순서
# mkdir /data
# cp /etc/host* /data
# vi /etc/export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/data 192.168.3.xx(rw)
/data 192.168.3.xxx(ro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 service nfs start
# exportfs [-v]
# mkdir /data2
# cp /etc/host* /data2
# ls /data2
# vi /etc/exports
# exportfs -ar (구성 정보 추가/삭제 시 reconfiguration 작업)
# exportfs
* nfs는 service 명령을 재사용할 필요가 없음.
/pub 위험한 공유방식
NFS 는 service start하고 나서 서비스 명령 사용하지 않음
exportfs 만 사용함
Ÿ NFS 서버에서 공유된 자원을 확인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
(명령어 형식)
# exportfs /* 공유된 자원 정보를 간략하게 보여준다. */
# exportfs -v /* 공유된 자원 정보를 자세하게 보여준다. */
# exportfs -ar /* 공유된 자원 목록(예: /etc/exports)을 다시 읽는다. */
클라이언트 써보겠습니다.
어떤식으로 할 건가욥?
# showmount -e 192.168.3.xx (서버의 공유 목록 확인)
방화벽 설정 정보 날리기 iptables -F
지금까지 내가 쓰던 명령어들 history
# mount -t nfs 192.168.3.191:/data /p
# df -h
# cd /p
# touch file1 file2 file3
# id (현재 계정이 바뀌어있는 상태, /data 디렉토리에 권한 1777을 주기)
# umount /p
자료를 모으는 용도로 씀
네트워크가 나쁜상태
리부팅 제약
부팅 제약
10000번을 접속시도 함. 다끝날 때까지 기다려야함
이럴 때, mount 옵션을 사용해야 함
intr : Ctrl + C 입력해서 명령 취소 할 수 있도록 해줌
bg : -o bg,soft 끊어지건 말건 백그라운드로 넘어감. 타임아웃 발생되면 에러 몇 번 보내다가 끊어버리기
적어도 위 3가지 옵션을 사용해야 함 mount 를 사용할 때는
콘솔모드에서 사용하는 경우
런레벨 2에서는 안됨
- 클라이언트 모드로는 할 수 있지만
- 헨들링 서버의 프로그램들은 nfs가 안됨
그래서 nfs 는 잘 안씀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erver
/etc/exports 에 정보 입력
- nfsd
- mountd
- statd (연결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)
- lockd (쓰는 사람이 있어(1번 rw) 그러니 두번째부터는 ro로 들어와)
# exportfs
# cd /data
# ls
Client
/point
- statd
- lockd (rw 쓰는 사람 있어?)
# show mount -e IP
# mount -t nfs IP:/data /point
# df -h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BO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- 27. DNS 서버 구축[작업중] (0) | 2016.12.07 |
---|---|
Linux - 26. DNS (0) | 2016.12.07 |
Linux - 24. FTP 서버 관리, hping (0) | 2016.12.07 |
Linux - 23. System Log II (0) | 2016.12.07 |
Linux - 22. System Log I (0) | 2016.12.07 |
블로그의 정보
jennysgap
jennysga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