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- 19. 서비스 관리
by jennysgap서비스 관리
시스템 사용자 환경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고, 기능적인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됨.
1) 서비스 보기
# ps -ef | more : 현재 동작중인 서비스 보기
# chkconfig --list : 서비스의 상태 보기
2) 서비스 활성화 비활성화
# cd /etc/init.d 사용가능한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고, start, stop 키를 통해 활성화-비활성화 가능.
# chkconfig --level (숫자) 서비스이름 on/off
* 바로 적용되는 형태가 아니라 시스템이 리부팅 된 이후 사용 가능.
* --level을 제외하고 적으면 모두 on/off
[실습]
# cd /etc/init.d
# ls
# ps -ef | grep rsyslog
# chkconfig --list rsyslog (rsyslog는 프로그램명이 아닌 서비스명임.)
# chkconfig --level 2 rsyslog off
# chkconfig --list rsyslog
# chkconfig --level 3,5 rsyslog off
# chkconfig --list rsyslog
# ps -ef | grep rsyslog
# /etc/init.d/rsyslog stop
# ps -ef | grep rsyslog (서비스가 제거되어 프로세스에 없음)
* Service 명령
# service service_name start | stop | restart
# service --status-all
# service service_name status --> 특정 service의 상태를 보여줌
** http 관련 서비스 start
** iptables 관련 서비스 stop
3) 시스템 셧다운
시스템 off 방법은 다양한 명령에 의해 진행 가능. --> cpu가 냉각되는 상태(종료)
# halt
# reboot
# init 0
# init 6
# shutdown -h +5 "Message" --> ctrl + c 명령 취소
# shutdown -r +5 "Message"
- Unclean shutdown : halt, reboot 등의 명령은 시스템 종료 시 프로세스 종료 없이 시스템을 종료하기 때문에 데이터 손상될 수 있음.
- Clean shutdown : 시스템 종료 시 동작중인 프로세스를 먼저 종료 후 시스템 종료. shutdown, init 명령등.
* halt, reboot 명령 사용 시 데이터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'sync' 명령을 같이 수행함.
# sync
# sync
# halt
# sync ; sync ; halt
'BO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- 21. 프로세스 관리 (0) | 2016.12.07 |
---|---|
Linux - 20. 패키지 관리 (0) | 2016.12.07 |
Linux - 18. Bootstrap(부팅의 단계) (0) | 2016.12.07 |
Linux - 17. 디스크관리(Mount 파일시스템, 파일시스템체크) (1) | 2016.12.07 |
Linux - 16. 디스크 관리(디스크 파티셔닝, 파일 시스템) (0) | 2016.12.07 |
블로그의 정보
jennysgap
jennysga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